-
[Cloud] 국내, 해외 Cloud 3사 강점 약점클라우드 2022. 5. 31. 21:22
해외 3사
강점 약점 AWS IaaS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 부족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원 AZURE 교육없이 사용 어려움
원가 관리
부족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원
Window 플랫폼에 강함대규모 컴퓨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 필요 GCP 데이터 처리에 대한 기술이 압도적이다.
빅데이터 애플리케이션, ML 벤처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적의 옵션대기업을 위한 제한된 범위의 서비스 해외 클라우드의 경우 국내 주 고객층은 대기업이다.
국내 3사
강점 약점 kt cloud 국내에서 가장 큰 인프라 규모
국내 최고 품질 수준 네트워크 트래픽
손쉬운 서버 세팅
빠른 스토리지 확장
편리한 OS관리
강력한 모니터링Paas가 약하다
OS 선택 폭 적음
UI가 미흡네이버클라우드 자체 기술을 이용한 IaaS, PaaS, Saa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가능 os 종류 적음
서버 생성 속도 느림kakao i 클라우드 여러 개의 멀티 클라우드
메신저 기반의 강력한 운용 툴과 대시보드로 클라우드 운영 가능
오픈 스탠다드 인프라 아키텍처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카카오 서비스, AI를 접목해 성능, 편의성 극대화되어 있음국내 클라우드의 경우 해외 클라우드를 사용을 꺼려하는 정부 기관, 공기업의 서버에 많이 활용된다.
공공 클라우드 사업 특징
클라우드의 기본에 충실! (좋은 확장성, 좋은 스토리지, 좋은 서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투자이기도 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필요하지 않는다.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클라우드 교양 1 (0) 2022.05.31